프로그램을 만들때 쓰는 기능 5 가지
안녕하세요. 벌써 두번째 시간입니다!
오늘 이야기 드리려는건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공통적으로 다 들어가 있는 이야기에요.
프로그램을 만든다하면 무조건 써먹게될 기능들이죠!
입력 / 출력 / 변수(저장공간) / 연산 / 제어
자, 각각의 용어 설명에 앞서 자판기를 생각해볼께요.
지하철을 타려고 기다리는데, 저기 기둥 근처에 자판기가 보이는거에요. 자판기에 가봤죠. 자판기도 똑같이 컴퓨터인거 아시죠!? 자판기라는 기계 안에 돈을 넣으면 뽑을 수 있는 음료나 과자에 불이 들어오고 뽑게되잖아요? 이것도 내부에 '자판기 프로그램' 이 적용되있기에 가능한거에요.
이 자판기를 갖고 위 5가지 기능 설명해볼께요!
일단 자판기 앞에선 우리는 음료를 뽑기위해 천원을 넣습니다. 그럼 어떻게되죠? 자판기에 넣은 돈이 표시가 되요. 1000원 이렇게.
어 근데, 먹고싶은 음료가 1200원이였던거에요. 그래서 부족한 100원을 2번 더넣었어요. 그럼 화면에 1200원이라 표시되겠죠?
자, 여기서 벌써 위 5가지 기능 중 4가지가 등장 했어요.
입력 / 출력 / 변수(저장공간) / 연산
일단 자판기에 돈을 넣는 행위를 '입력'이라 표현해요. 자판기 프로그램 입장에선 돈이 입력된거죠. 돈을 입력했더니 어떻게 됐나요? 화면에 돈이 표시되죠. 그걸 우리는 화면에 돈이 표시됐다 해서 '출력'이라고 표현해요.
그다음 신기한 일이 펼쳐져요. 음료수가 1200원이여서 부족한 200원을 넣었더니, 어떤 일이 일어났나요?
난 분명 100원씩 두번 넣었을 뿐인데, 자판기가 알아서 1000원 + 100원 해서 1100원, 1100원 + 100원 해서 1200원이라고 화면에 표시되고있는거에요.
이게 어떻게 가능한걸까요?
자판기 내부 프로그램이 돈 1000원 들어온걸 변수(저장공간)에 저장해뒀다가, 100원이 추가로 들어왔다고 덧셈 연산을 해서 1100원, 한번더 100원이 더 들어와서 1200원. 이렇게 연산이 일어나게 된거에요. 즉 넣은 돈을 보관하고 있던 개념을 '변수(저장공간)'에 1000원을 저장했다 라고 표현하고, 1000원 + 100원 + 100원 = 1200원된 개념을 '연산'했다 라고 표현하는거죠. 이렇게 변수와 연산 기능을 배워봤어요.
자 그럼 마지막 남은 '제어'라는 기능은 뭘까요?
1200원을 넣었는데, 갑자기 마음이 바뀌었어요. 1400원짜리 음료수가 먹고싶은거에요. 혹시나해서 1400원 짜리 음료수 버튼 눌러봤는데 어때요? 아무 동작도 안하죠. 애초에 돈이 부족해서 음료 밑에 빨간불도 안들어와있어요. 제가 넣은 돈 이하의 음료들만 불 들어와 있어요.
이렇게 입력한 금액따라 제품을 살 수 있게 불이 들어오고, 안들어오고의 개념을 '제어'라고 표현해요.
자 정리해볼께요.
입력 : 자판기에 돈을 넣는 행위
출력 : 자판기에 넣은 돈이 화면에 표시된 모습
변수(저장공간) : 자판기가 넣은 돈을 잠시 보관하고 있는 모습
연산 : 기존 저장된 1000원에 200원을 더하는 행위
제어 : 자판기에 넣은 금액에 따라 음료수 버튼이 불들어오는 모습
이해 가셨나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위 5가지 기능을 어떻게 프로그램에 적용하는지 꼭 나와있어요.
저 5가지 기능들만 있으면 프로그램을 만들어낼 수 있거든요!
자 그럼 C언어에서는 위 기능을 어떻게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있는지 배워볼까요?
다음 편에 계속..!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